[자료실][역사] 서운관지/관해 ( 5 판 )
표!
초기 | 1688 | 1702 |
경복궁 영추문 안 북부 광화방 | 창경궁 금호문 밖 | 경희궁 개양문 밖 |
이름 | 칸수 | 설명 | 위치 |
청사(廳事) | 10 | 동실과 서실이 각각 2칸씩 차지하고 있다. 공사당(公事堂)이다. | |
관천대(觀天臺) | - | 돌을 쌓아서 대를 만들고 돌난간으로 둘렀으며, 그 위에 한 면이 평평하고 네모난 돌을 뒤집어 놓았다. 측후할 때 소간의 를 그 위에 안치하므로 소간의대라고도 부른다. 명나라의 옛 제도에 따라 돌난간 옆에 상풍간 을 설치하여 아침저녁으로 바람을 점찰하는 일을 하게 했다 | 청사의 남 |
흠경각(欽敬閣) | 3 | 각 안 서쪽에 국초의 석각천문도(石刻天文圖)를 보관하고 있고, 동쪽에 숙종조의 석각천문도를 보관하고 있다. | |
일구대(日晷臺) | - | 흠경각 옆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들고 자오(子午)에 맞추어 안치하고, 또 청사의 남쪽에도 돌을 쌓아 대를 만들고 그 위에 일구(日晷)를 안치했다. 삼각동표(三角銅表)를 써서 해 그림자를 측정한다. | 흠경각 옆 청사의 남쪽 |
측우대(測雨臺) | - | 대(臺)를 만들어 측우기를 그 위에 올려 놓았는데, 대의 높이는 1척이고 너비는 8촌이며, 경신년(1740)에 새로 만든 포백척(布帛尺)을 썼다. | 청사의 뜰 동쪽 |
천문직려(天文直廬) | 7.5 | 廬: 숙직실 | 청사의 동쪽 |
삼력청(三曆廳) | 6 | 삼력관이 회아(會衙) 하는 곳이다. | 청사의 뒤 |
추길청(諏吉廳) | 6 | 명과학 관원들이 입직 근무하는 곳이다. | 삼력청의 동쪽 |
일과청(日課廳) | 6 | 역서의 진헌(進獻)ㆍ반사(頒賜)를 담당하는 곳이다. | 관천대의 동쪽 |
관청(官廳) | 4 | 공화(公貨) 를 내고 들이는 일을 담당하는 곳이다 | 관천대의 동쪽 |
인력소(印曆所) | 6 | 각 관서에 분아(分兒)하는 역서와 본감의 사건(私件)을 담당하는 곳 | 천문직려의 남쪽 |
인출소(印出所) | 5.5 | 감동소(監董所)에서 철판(撤板)하는 날 퇴공(退公) 인력(印曆) 하는 곳이다. | 관천대의 서쪽 |
이청(吏廳) | 6 | 아전(衙前)이 집무하는 청사 | 일과청의 옆 |
고직소(庫直所) | 2 | 고직: 관아의 창고를 지키고 감시하던 사람 | 관청의 동쪽 |
문랑(門廊) | 대문 1 익랑 4 | 삼문(三門) 안에 따로 돌계단을 설치해서 지영(祗迎)하는 장소로 삼는다. 또 천문직려의 동쪽에 작은 문을 만들어서 출입은 그것을 통해서 하고 대문을 거치지 않는다(..). |
국어사전 감사합니다..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