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프로젝트][그래도 행성은 돈다] 그래도 행성은 돈다/세계관 ( 5 판 )
그래도 행성은 돈다 관련 사이트 일람 | |||
메인 페이지 | 세계관 | 캐릭터 목록 | 아울랩 카페에 통합되어 현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. |
연재 목록 | 현재는 한 달에 한 번씩 만화들을 모아서 업로드합니다. | 게임 |
근데 이거 수정 많이해야 합니다..
1. 외부 링크
그래도 행성은 돈다 공식 웹페이지 에 올라온, PDF나 PNG 등의 외부 링크로 열람할 수 있는 설정들이다.
1-1. 설정 논문(PDF)
1-1-1. 물리적 성질 관련 설정
- [설정 논문] 천체 반지름과 그 의인화 캐릭터의 신장 관계식
- [설정 논문] 천체 질량과 그 의인화 캐릭터의 질량 관계식
- [설정 논문] 항성 반지름과 그 의인화 캐릭터의 신장과 질량 관계식
1-1-2. 궤도적 성질 관련 설정
- [설정 논문] 궤도 장반경과 방의 위치
- [설정 논문] 궤도 장반경과 동공의 크기
1-1-3. 세계 관련 설정
- [설정 논문] 상대성 이론과 세계 대응
1-2. 그래픽(PDF, PNG)
1-1-1. 캐릭터 관련 설정
- [그래픽] 천체-캐릭터 대응(행성/소행성 일반)
- [그래픽] 각각의 천체-캐릭터 대응
- [그래픽] 천체-캐릭터 대응(항성 일반)
1-1-2. 세계(모양) 관련 설정
1-1-3. 세계(규칙) 관련 설정
- [그래픽] 숫자 체계
1-1-4. 기타 설정
- [그래픽] 업데이트 예정
2. 기타 일반 설정
만화 복선이나 위의 자료를 통해 드러난 일반적인 것들을 문서화해 둔 페이지이다.
그래도 행성은 돈다 세계관 설정별 분류 | ||
근거가 과학적인가? | 과학적 근거를 둔 설정 | 과학적 근거를 두지 않은 설정 |
회수할 수 있는가? | 회수 가능한 떡밥 | 회수 불가능한 떡밥 |
작품 내 | 작품 외 | |
작품 내에서 인지 가능 | 현실 기반 작품 내적 설정 | 임의 작품 내적 설정 |
작품 내에서 인지 불가능 | 임의 작품 외적 설정 |
2-1. 과학적 근거를 둔 설정
위의 설정논문과 같이 물리적, 궤도적 수치를 대입하여 공식을 통해 도출해 낸 결과를 포함한, 근거를 과학적으로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설정들이다.
2-2. 과학적 근거를 두지 않은 설정
근거를 명확히 설명할 수 없는 설정들이다. 쉽게 예를 들어 보자면 소수화의 정확한 기준이라든지(플루토는 왜소행성으로 내려왔지만 9년째 소수화 되지 않음), 항성의 "세대" 개념과 같은 것들이다.
2-3. 회수 가능한 떡밥
임의적 설정의 결과물이나 과학적 근거를 둔 설정 중 이유가 명확히 밝혀져서 회수가 가능한 복선이다.
2-4. 회수 불가능한 떡밥
과학적인 한계 때문에 현재는 회수할 수 없는 복선이다. 아래는 간단한 예들.
- 마스(화성), 유로파, 타이탄 등의 생명체
- 아직 탐사되지 않은 천체
- 9번째 행성
- 계획 단계의 탐사선(주스 등)
- 베가의 행성 개수
- 외계의 지적생명체
2-5. 현실 기반 작품 내적 설정
현실의 과학적 사실에 기반을 둔 설정 혹은 그 사실을 어떤 공식에 대입해 유도해 낼 수 있는 것. 이러한 것은 대체로 작품 내의 캐릭터들이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설정이다.
- 캐릭터들의 머리색
- 항성에서 먼 천체일수록 동공의 크기가 커지는 것
- 항성과 행성의 구분: 신장, 질량(물리량)
2-6. 임의 작품 내적 설정
과학적 사실에 기반을 두었으나, 그것이 굳이 현실과 연관이 없고, 그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본 프로젝트에서만의 임의적인 기준을 제시한 설정. 혹은 아예 과학적 사실에 기반을 두지 않았거나, 과학자들이 임의로 붙인 네이밍에 기반한 설정. 작품 내의 캐릭터들이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설정이다.
다음은 예시이다.
2-7. 임의 작품 외적 설정
과학적 사실에 기반을 두었으나 현실과 연관이 없는 경우, 설정 자체가 과학적 사실에 기반을 두지 않은 경우, 과학자들이 임의로 붙인 네이밍에 기반한 설정 중 작품 내의 캐릭터들에 의해 알려질 수 없는 설정이다.
- 별다른 이름이 없는 항성의 네이밍 관련 설정: 고유 명칭(?)이 없는 별들 중 그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경우 해당 별자리의 이름을 가져다 쓴다.

